top of page

202102新着本-韓国書-



202102新着本-韓国書-

2021年2月に届きました韓国書です。


〇한국고대사학회(엮음)2018.10『가야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가야 연구Ⅰ 주류성

차례

・책을 내면서

・주보돈「가야사 연구의 새로운 진전(進展)을 위한 제언」pp.9-38.

제1부 고고자료를 통해 본 가야사연구

・홍보식「전기가야의 고고학적 연구 쟁점과 전망」pp.41-82.

・이동희「후기가야 고고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pp.83-132.

・감제기「대가야 고대국사론」pp.133-166.

제2부 문헌료를 통해 본 가야사 연구

・문창로「‘변한과 가야’ 연구의 동향과 과제」pp.169-228.

・이영식「가야 제국(諸国)의 발전단계와 초기고대국가론」pp.229-274.

・신가영「대가야 멸망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야반’기사를 중심으로-」pp.275-316.

・山崎雅稔「일본의 가야사 연구-임나일본설을 중심으로-」pp.317-342.


〇김상민(지음)2020.4『동북아 초기찰기문화의 성립과 고조선』서경문화사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동복아시아 철기문화의 연구 현화과 과제

 1절 동복아시아 철기문화에 관한 연구 동향

  1.중국 전국시대~한대 철기에 대한 연구

  2.전국시대~한대 철기문화의 확산과정에 관한 연구

  3.철기생산기술과 유통에 대한 연구

 2절 문제 제기 및 연구방법

  1.동북아시아 철기 연구의 과제와 연구 방향

  2.연구 대상과 방법

제2장 연구 대상과 기종 분류

 1절 지역 구분

 2절 기종과 형식분류

  1.주조철부

  2.다조철부

  3.철초(鉄鍬)

  4.철겸(鉄鎌)

  5.철착(鉄鑿)

  6.환두도지(環頭刀子)

  7.판상철부(板状鉄斧)

  8.철시(鉄鉇)

제3장 연산 남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1절 전국시대・한대 연산 남부지역 유적의 현환

 2절 부장철기의 변천

  1.단계설정의 기준

  2.부장양상의 변천

  3.연댈의 검토

 3절 취락 내 철기의 변천

  1.층위별 철기의 출토양상

  2.층위에 따른 철기의 형식변화

  3.공반유물의 검토

 4절 소결

  1.연하도 철기문화의 변천

  2.연산 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전개양상

  3.연산(燕産)철기와 한식(漢式)철기

제4장 요령지역 철기문화의 유입과 변천

 1절 요령지역 철기문화의 단계설정 기준

 2절 요서지역 철기문화의 유입과 변천

  1.유적 현항

  2.부장철기의 변천-조양 원대자유적을 중심으로-

  3.취락 내 철기의 변천

  4.소결

 3절 요동지역 철기문화의 유입과 변천

  1.유적 현환

  2.부장철기의 변천

  3.취락 내 철기의 변천

  4.소결

제5장 한반도 철기문화의 유입과 변쳔

 1절 한반도 서북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1.유적 현황

  2.부장철기의 변천

  3.연대 검토

  4.토성지 및 취락에서 출토된 철기의 시간적 위치

  5.소결

 2절 한반도 서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유입과 변천

  1.유적 현황

  2.부장철기의 변천

  3.한반도 서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전개양상

  4.연대 검토

  5.취락 내 철기의 특징과 연대

  6.소결

 3절 한반도 동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유입과 변천

  1.유적 현황

  2.부장철기의 변천

  3.연대 검토

  4.소결

제6장 동복아시아 찰기문화의 변천과정과 학산단계

 1절 동복아시아 철기문화의변천-철부와 철겸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1.동복아시아 제지역 철부의 변화양상-십입형 농공구류를 포함하여-

  2.동복아시아 제지역 철겸의 변화양상

 2걸 동복아시아 철기문화의확산단계

  1.확산단계 1기

  2.확산단계 2기

  3.확산단계 3기

  4.확산단계 4기

 3절 소결

  1.동복아시아 철기의 변화양상

  2.동복아시아 철기문화의 확산과정

제7장 동복아시아 철기생산기술의 전개과정-한반도 남부지역 중심으로-

 1절 철기 생산공정의 이해

 2절 연산 남부・요령지역 철기생산기술의 검토

  1.연산 남부지역・요령지역 철기생산유적의 검토

  2.연산 남부지역・요령지역 철기생산유적의 분포와 그 의미

 3절 한반도 남부지역 초기 철기생산기술의 등장과 전개과정

  1.유적 현황

  2.유구와 유물의 분류

  3.단야로의 유형과 철기생산공천

  4.한반도 남부지역 초기 철기생산공전의 변천

  5.한반도 남부지역 초기 철기생산기술의 등장과 발전배경

제8장 동복아시아 철기문화의 성립과 고조선

 1잘 전국시대 연나라 철기문화의 확산과 지역성

 2질 한나라 철기문화로의 전환과 고조선

  1.확산단계 3기 철기문화의 전환과 고조선

  2.확산단계 4기 철기문화의 전환과 기역정치채의 등장

제9장 맺음말

참고분현


〇중앙문화재연구원・동서문화연구원・몽골 과학아카데미 고고학연구소(지음)2020.1『몽골의 무덤』중앙문화제연구원 학술총서 44 진인진

목차

Ⅰ 조사개요

Ⅱ 바얀차간 솜의 위치와 고고환경

 1.바얀차간 솜의 위치

 2.바얀차간 솜의 고고환경

 3.바얀차간 솜 지역의 제사(어워)

Ⅲ 조사내용

 1.몽골의 청동기시대 무덤 개관

 2.쇼허잉 암 유적

 3.흉노 무덤 개관

 4.치헤르틴 저 유적

Ⅳ 고찰

부록


〇서울대학교박물관(編著)2001.10『2000년전 우리이웃-중국 요령지역의 벽화와 문물 특별전』서울대학교박물관

목차

1.중곡동북지방의 파노라마

2.요령성, 요서 그리고 조양

3.전연 귀족의 생활:조양 원대자 고분

 (1)벽화의 세계

 (2)유물에 깃든 삶

4.胡漢의 자취

 (1)서풍 서차구 고분

 (2)금주 패각묘

부룩


Comments


noraarchaeology-color03_edited.jpg

野良考古学研究所

Nora-Arachaeoloy Institute

  • Facebookの社会的なアイコン
  • Twitterの社会のアイコン

© 2019 Nora-Archeaology Institiut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