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新着本-韓国書-
- 野良考古学研究所
- 2020年5月2日
- 読了時間: 1分

202004新着本-韓国書-
2020年4月に届きました韓国書です。
〇권이지(편)2015『마한 분구묘 비교 검토(馬韓 墳丘墓 比較 検討)』마한연구원 총서1 학연문화사
・임영진「마한 분구묘의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pp.11-49.
・김기옥「경기지역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출토유물」pp.51-63.
・조가영「경기지역 마한 분구묘 사회의 연구성과와 과제」pp.65-97.
・정해준「충청지역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출토유물」pp.99-162.
・서현주「충청지역 마한 분구묘 사회의 연구성과와 과제」pp.163-199.
・이택구「전북지역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출토유물」pp.201-236.
・박영민「전북지역 마한 분구묘 사회의 연구성과와 과제」pp.237-283.
・오동선「전남지역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출토유물」pp.285-313.
・한옥민「전남지역 마한 분구묘 사회의 연구성과와 과제」pp.315-372.
〇조혜진(편)2017『마한 백제토기 연구 성과와 과제(馬韓・百済土器 研究 成果와 課題)』마한연구원 총서3 학연문화사
・송공선「양이부호와 발형토기」pp.9-28.
・왕준상「이중구연호」pp.29-42.
・김은정「장란형토기와 시루」pp.43-70.
・남상원「백제 흑색마연토기-直口廣肩壺를 중심으로-」pp.71-93.
・조가영「한성기 직구호류의 년구 쟁점과 편년 시안」pp.95-123.
・이순엽「광구호와 광구장경호」pp.125-145.
・조규희「조형토기」pp.147-160.
・오동선「개배와 유공관구호」pp.161-186.
・조은하「백제 고배와 삼족기의 연구성과와 과제」pp.187-213.
・이건용「기대」pp.215-231.
・이지은「토제연통」pp.233-250.
・한지선「완(盌)과 병(瓶)」pp.251-290.
〇중앙문화재연구원(엮음)『한국 신석기시대 고고학사(韓國 新石器時代 考古學史)』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35 진인진
・신숙정「일제강점기의 신석기문화 연구」pp.6-44.
・임상택「북한의 신석기시대 연구사-토기 편년을 중심으로-」pp.46-73.
・양성혁「중부지역 및 북부지역 즐문토기 연구사」pp.74-142.
・하인수「남부지역 즐문토기 연구사」pp.144-255.
・구자진「신석기시대 집자링와 마을의 연구사」pp.256-283.
・이연덕「생업과 도구의 연구사」pp.284-334.
・신종환「유적 발굴로 본 신석기시대 연구사」pp.336-396.
・안승모「인물로 본 신석기시대 연구사」pp.398-437.
〇중앙문화재연구원(편)『마한・백제의 분묘 문화(馬韓・百済 墳墓 文化)Ⅲ 충남Ⅲ:아산』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15 진인진
Comments